건축에서 나타나는 하이브리드 특성 조사자료 1
이번 포스팅은 역시 13~4년 전쯤 레포트 쓸 때 조사했던 자료입니다.
건축에서 나타나는 하이브리드적 특성에 관한 조사자료로 포스트앤레이트, 해체주의 등의 이야기들과도 연관이 있는 것 같아 조사하면서 나름대로 정리해봤던 글입니다.
다소 오류가 있거나 맞지 않는 내용이 있더라도 양해 부탁드립니다.^^
1_건축에서 나타나는 하이브리드 특성_서론
현대사외에서는 모든 가치가 상대화되고 다원화됨으로 인하여 어떠한 단일의 가치도 지배적이거나 우월한 것이 되지 못하고 모든 가치들이 단편화 되고 있다. 이러한 단편들이 동질적으로 혹은 이질적으로 조합되어 하나의 현상이 되어가고 있으며, 각기 다른 시대와 장소에 따른 수 많은 경험들이 단편화되어 개개인의 기억속에 각기 다른 양상으로 존재하고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건축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는데, 근대건축이 해체되기 시작한 이후로 건축의 다원적인 양상은 어느 한가지의 사조로서 정의될 수 없을 정도로 확대 되었고, 기존의 것을 조합, 병치, 중첩시킴으로써 새로움을 추구하고자하는 하이브리드적인 양상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건축 이후 나타나는 건축에서의 하이브리드적 양상과 현대적 의미의 하이브리드 건축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2_하이브리드의 이해
가. 하이브리드의 의미
하이브리드의 의미는 첫째, 2개의 서로 다른 인종, 품종, 특성 등의 사이에서 탄ㅅ행한 이형이라는 의미와 둘째, 2개의 상이한 문화나 전통의 혼합에 의해 출현한 사람이나 집단을 의미한다. 하이브리드라는 개념은 생물학적 용어로는 대립을 기반으로 하는 양자공존과 난해한 전체라고 규정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는 극단적 이질성으로 인식되어 오던 것들을 와해시키고 이미 완성된 형태로 혼합하여 새로운 것을 창조한다는 가능성의 전체가 함축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된 이래 다수의 서구 자본주의사회들에게 뚜렷하게 진행된 산업이 재구조화, 재조직화, 직업구조의 변동, 기술혁신 등은 산업사회의 근본적인 변모와 탈산업사회의 출현을 의미한다. 그 후 30~40년이 지나면서 우리는 동서의 냉전이 무너지고 새로운 질서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세기말적인 현상 속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현대의 세기말적인 사회변화를 정리해볼 수 있을 것이다.
1) 삶의 변화
1970년대 이후 점차적으로 중대한 인간의 소외와 물질에서 부터의 불만족 그리고 정보의 보편화에 의한 다른 인간들의 삶에 대한 인식이 달라짐으로써 인간은 다른 사람과의 획일적이고 동일한 삶에서 자기의 개성과 자신의 의미를 부각시키는 “특별한 삶”으로 점차 변화한다. 또한 인간의 삶이 개인화 되어감에 따라 개인화된 인간이 추구하는 것은 자연히 창의성에 연관된 정신의 만족이다. 인간이 갖는 창조적 잠재력은 결국 자기자신이 주체가 되는 창의성으로 나타나면서, 인간의 삶이 창의성의 유무로 풍족 여부를 가리게 되었다.
2) 매체의 변화
현대는 국가 중심매체가 TV에서 컴퓨터로 전환된 멀티미디어나 하이퍼미디어의 시대로 우리에게 새로운 지각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텔레비전과 컴퓨터가 결합된 하이퍼미디어와 같은 매체의 변화는 기본적인 요소인 이미지, 소리, 텍스트, 애니메이션과 비디오 등으로 형성되고 여러 방식으로 복합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지각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이것은 비순차적인 접근을 제공하는 매체이며, 물리적으로는 시작이나 중간 끝을 가지고 있지 않다. 복수의 매체에 대한 비순차적 접근을 결합시킴으로써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과 정보, 오락을 소통시킬 수 잇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사이버 스페이스내의 가상 현실 같은 경험이 가능케 되고, 모든 상품이나 정보고래나 교육, 회의 같은 것이 보이지 않는 가상세계에서 이루어지게 할 수 있게 한다.
3) 사회구조의 변화
앨빈 토플러의 “제 3의 물결”에서 역사를 ‘연이어 굽이치는 변화의 물결’로 보고 각각 농업혁명, 산업혁명으로 밀어닥친 변화의 물결에 의해 지금 제 3의 물결이 막 시작되고 있다 고 주장한다. 이 단계에서는 가속적인 변동 속도가 사람들 상호간의 관계, 사람과 본질적 사물, 장소, 제도, 생각, 정보의 관계에서 일시성의 체험을 강화시키고 관료주의적 행적욱조가 붕괴되고 이와 관련 직무 특수적이고 덜 위계적인 조직형태가 새로 출현하였다.
4) 글로벌화
과학 기술혁명을 기바으로 하는 생산력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생산자본까지를 포함한 모든 자본형태의 운동을 세계화, 국제화 시키고 있으며, 사회적 재생산까지 세계화 시키고 있다. 이러한 수준의 세계화는 노동의 입지를 약화시키고,향후 부의 재분배원칙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갈등이 전 세계적 노동, 자본갈등의 중심에 있게 된다.
나. 하이브리드 건축의 배경
하이브리드 건축은 역사적으로 볼때 17세기의 매너리즘, 19세기의 절충주의 등에서 찾아 볼 수 있고 1960년대에 이르러 모더니즘이 해체되기 시작한 이후로, 건축에서는 역사, 장식이나 의장을 수용하고, 복잡성 및 모호성을 지니는 하이브리드적인 표현이 재조명 받기 시작했다. 그 후 디지털 기술과 컴퓨터의 발달로 좀 더 현대적인 의미의 하이브리드 건축이 탄생하게 되었다.
다. 하이브리드 건축의 개념
하이브리드 건축은 품종개량의 개념이나 우성과 열성, 형태가 있는 것과 없는 것, 실제적인 것과 가상적인 것과 같은 대조와 이종의 개념에 의해 생산된 건축물, 그리고 상반된 기하학적 도형들과 공간의 선결조건들을 해명하고 소비하면서 서로 맞서는 개체들의 통합을 통해 진화하는 건축물을 정의한다. 즉, 하이브리드 건축은 공통점이 없는 서로 다른 요소들 간의 전체론적인 혼성의 결과이며, 그 구조가 가진 스케일과 균형의 상태에서는 모호한 상태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혼성의 방법은 새로운 정체성의 개념을 발생시키고, 구조의 기원에 대한 분명한 척도를 가지지 않는다. 또한, 그것들의 구성은 공간의 기능과 관련된 확장과 수축을 향해 짜여지며, 그것은 중첩되고 상호 유입되는 미결정 상태의 공간들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3_하이브리드 건축의 전개
가. 포스트 모더니즘 이전의 하이브리드 건축 경향
1) 매너리즘
매너리즘은 1500~1600년 사이의 이탈리아의 지배적인 건축양식이다. 매너리즘 건축의 수법상의 특징을 보면, 심리적인 성질에 파격과 이탈과는 대립되는 선례를 모방하는 특성이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선례를 모방하는 것은 자신의 창조행위가 미로에 빠지는 것을 두려워하는 태도와 창조의 혼돈으로부터 도피하려는 심리의 표현이기도 하다. 이러한 16세기의 매너리즘이 1920년대에 나타나는 근대건축에서는 고전적 체계를 노골적으로 참조하지도 않으면서 그것이 의미하는 구조적 기능을 역전시키고 있다. 매너리즘 건축의 수법상 특징은 비합리성, 꼴라쥬, 표현성이 있으며, 매너리스트의 심리적 성질에는 파격과 이탈이라는 자의성과 반대되는 선례의 모방이라는 특성이 공존한다.
2) 절충주의
절충주의의 개념은 프랑스 철학가인 빅토르 쿠젱에 의하여 다양한 이절적인 체계로부터 선택된 관점들로 구성된 사고의 복합체계를 의미하는 것을 사용되었다. 19세기 초부터 말까지를 지배하는 절충주의 건축은 그리스, 로마의 양식과 함께 과거의 양식을 혼합하면서 나타나기 시작했다. 장식의 집적안에서 절충주의 건축가들은 부분들의 새로운 배열에 대한 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연결성의 구성원리에 의한 부분들의 연결을 더욱 어렵게 하면서 부분들 사이의 엄격한 대비를 구축하려는 양식의 혼합으로 특징지워진다. 따라서 자율적 구성형식에서 나타나는 부분들의 강조가 19세기 건축에서 극대화되어 부분들간의 강한 대비에 의하여 구성형식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대비의 방법은 각부분들 사이의 요소와 요소들 사이에서 재료와 색채의 대비, 매스의 대비, 요소들의 대비 등으로 표현된다. 스피츠(Peter Speeth, 1772~1831)의 여죄수 감옥소는 적층 뿐만아니라 대비된 구성의 놀라운 예를 보인다. C. 가르니에의 파리 오페라 하우스 (1860~1875)는 각 부분의 자율성을 부여하는 19세기 절충주의 양식의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3) 아방가르드
1900년대의 계획안과 산업혁명으로 인한 발달된 산업기술과 신소재, 엘리베이터, 강철구조, 콘크리트 구조술 등을 이용한 건축물이 나타나는데, 이런 건축물은 도시의 다양함에 순응하면서 복합기능성(multi- functions)과 그리드의 제한에 대한 민감성을 보이면서 “도시소생”(revitalization)을 위한 모델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있어 하이브리드적 양상을 지닌다. 사이먼 프리이드의 Groble Tower 1906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이 단일의 내부를 틀속에 응집되어 있다.
글이 넘 많아 지루할 것 같아서 두번으로 나눠서 올려보겠습니다.
이번 글은 그림이나 사진이 별로 없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전 글 링크_포스트&레이트 모더니즘 건축 조사_1_바로가기
☆ 이전 글 링크_해체주의 건축 탐구 조사자료_1_바로가기
☆ 이전 글 링크_뉴욕5 건축 탐구 조사자료_1_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