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자료, 건축이야기_뉴욕5 (NEWYORK FIVE) 건축 탐구_1

학교다닐 때 공부하던 것들을 자료화 하여 올려보려고 합니다.

***퍼스에 올렸던 내용이었는데 아주 오래전 내용이어서 팔리지도 않고

좀 더 공유를 해보고자 올려보려고 합니다.

오래되어서(15년 이상;;) 내용이 잘 기억 나지도 않고 맘대로 쓴 것 같지만

공유 차원에서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목차

1_뉴욕5 건축의 성립 배경

2_뉴욕5 건축의 특징

3_뉴욕5 건축의 사례 분석

4_결론

1_뉴욕5(New York 5) 건축의 성립 배경

가_시대적 배경

1960년대는 제 2차 세계대전 이 후, 자유진영과 공산진영의 둘로 나뉜 정치체계가 분열되고 세계 곳곳에서 일어난 무력 분쟁으로 매우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사회적 측면에서도 1968년 이후 경제가 급격히 침체되고, 공해문제가 대두되었으며, 극단적 이기주의와 자유에 대한 욕망의 분출, 그리고 선진 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간소외 현상이 만연한 사회였다. 기존 세대의 규범 들은 개인이 중시 되면서 새로운 세대는 현실주의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이런 사회 전반에 걸친 불안과 갈등은 예술에도 반영되어 기존의 원리, 과거에 만들어진 규범들에 반하는 움직임을 보인다. 이에 표현적, 감각적인 팝아트, 옵아트, 키네틱아트, 미니멀아트 등이 등장하였고, 중심되는 주류가 없이 새로운 분야가 계속 생겨나게 되었다.

팝아트 사례_음 어쩌면_로이 리히텐슈타 
키네틱 아트 사례_모빌

이렇듯이 위기적 상황 하에서 예술가들은 일시적인 만족을 추구하게 되며, 그들 스스로가 느끼는 내적 갈등의 결과로서 형태의 과장된 표현을 즐기게 된 것이다. 이러한 갈등은 건축에 있어서도 심화된다.

1968년 C.I.A.M이 공식적으로 종결되고 team 10으로 대체되었는데, 이것은 실질적인 모더니즘의 붕괴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그때까지 모더니즘 건축에서 무시되어 오던 지역서, 토착성, 역사적인 맥락을 중요시하는 건축이 등장하기 시작하였으며, 근대건축을 이끌어 오던 대가들의 잇따른 별세로( F.L.Wright(1959), Le Corbusier(1965), Mies, Gropius(1969) )건축계는 구심점을 잃게 되었다. 수십 년간 ‘국제 건축 양식’이란 이름으로 Mordernism건축이 지향하던 기계주의, 기능주의, 순수예술로부터 벗어나서 역사주의와 지역성을 강조하는 post-modernism 건축이 발전하면서 건축은 더욱 더 다원화되고 혼란된 상황으로 발전되게 되었다.

이러한 건축의 혼란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1920년대 유럽모더니즘 대가들의 철학적 이상주의, 원초적 형태 등에 집착함으로써 형태의 질서 가치를 순화하고 정립하려는 시도가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나타나게 되었다.

> 건축은 다원화 되고 혼란된 상황으로 발전하고 극복을 위한 시도가 나타남

나_뉴욕5(New York Five)의 등장

그 중 미국에서는 New York 5라 불리는 다섯 명의 건축가가 선도적 역할을 하였는데 New York 5는 Peter Eisenman, Michael Graves, John Hejduk, Charles Gwathrney, Richard Meier에 의해 1969년 시작된 통일된 건축 운동 이었다. 1969년 Graves, Eisenman, Meier가 주 멤버가 되어, team10이나 C.I.A.M과 같은 토론을 통한 그룹인 CASE(conference of Architects for the Study of the Envieronment) 의 전시회를 가졌는데, 이때 Gwathrney와 Hejduk이 초대되어 5인 건축가로 그들을 New York Five라 명명케 되었다.

이들은 전시회와 작품집, 잡지 등을 통하여 끊임없이 접촉, 토론을 가짐으로써 공통적인 목적이나 양상이 표출되고 운동적인 성격을 띄게되며, 초기 작품들에서 보여지는 백색의 입방체가 Le Corbusier의 그것을 연상시킨다하여 Neo Corbusian 혹은 white, New York 5라고 하는 그룹차원으로 불려지나 그들은 각자 독립적으로 활동하면서 뚜렷한 이름을 표방함으로써 이를 거부하는 입장이다. 궁극적인 것은 그들의 작품이 표방하는 스타일백색에 담겨진 정신적 의미, 그리고 건축 드로잉을 통한 건축 예술의 재활성화에 대한 접근 태도의 공감대 형성에 있다고 하겠다.

양이 많아서 나눠서 올려보겠습니다.

워드프레스 정말 익숙해지기 쉽지 않네요 ㅎㅎ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