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지난 글에 이어 뉴욕5 건축의 특징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내용이 많아서 -1, 2로 나누려다가 너무 찔끔 쓰는 건가 싶어서 그냥 한번에 특징을 올려봅니다.

레포트로 보기 좋게 계속 올려야되는데 건축가 들 소개 내용은 담번에 올려보겠습니다.^^

2. 뉴욕5 건축의 특징(New York 5)

 

가. New York 5 건축의 공유 개념

그들의 공감대 형성은 1960년대 후반의 당시 미국의 시대적 분위기로서의 매너리즘적 경향에 대한 반발의식이었다. 그것은 새로운 창작의지는 결여된 체 기존의 오브제나 아이디어를 통한 과장적인 변형요소로의 창작적 의지를 정의하려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합리주의적 건축관이 나타났는데, 이것은 New York 5 건축의 중요한 공유개념으로 작용했다. 또한 1960년대를 거치면서 르 꼬르뷔제, 미스 반 데 로에,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그로피우스 같은 모더니즘의 대표 거장들이 타계함으로써 그들에 대한 감상적 경향으로 나타난 네오 모더니즘의 영향도 있다.

New York 5 건축은 앞에서 열거한 거장들의 건축적 개념에 당시의 시대적인 타당성을 담은 독창적 개념을 가미하는 입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1960년대의 미국의 대중건축운동에 대한 반발이다. 그것은 당시 미국의 토속건물이나 길거리의 상업 간판 같은 지역적이고 대중적인 모티브로 형성하는 건축적 개념이었는데 그에 반하여 New York 5 건축은 전통적 상징체계가 모두 지워진 순수한 조형기치 자체를 건축적 요소로 다루고자 하는 개념에서의 대립이었다. 여기에서 그들은 복합공간운동이라는 건축관을 제시하는데, 복합공간은 하나의 건물에 공간을 분절하여 겹공간을 형성하고 이 겹공간 사이의 복합영역을 추구하려는 공간관이다. New York 5 건축에서는 여러겹으로 형성되는 공간 구조 속에 기하충돌, 미로, 좌표질서, 매스대립, 빛조적 등과 같이 여러 종류의 복합공간 기법이 종합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나. New York 5 건축의 사상적 모태

1970년을 전후하여 New York 5가 표방하고 있는 ‘백색’으로 환원된 건축은 당시 모더니즘 내부의 개혁 의지와 재정비를 의미하며, 따라서 그들의 건축의 사상적 모태가 되는 것은 유럽 전통으로의 복귀에 대한 이상적 추구라고 볼 수 있다.

K.Frampton은 New York Five의 공통적 기반을 Le Corbusier의 작품에 두고 있으나,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Colin Rowe투명성의 개념에 두고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입체파의 회화에서 사용된 투명성의 개념을 해석하여 3차원의 건축에 응용되어진다고 한다. 즉, 실의 투명성은 화면상의 오브제들을 중첩시켜 연출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Gropius의 Bauhaus에서처럼 대규모의 유리나 격자를 이용해 건축적 연출을 유도하는 물리적 성질로서의 재료의 투명함이다.

반면에 허의 투명성은 형식적 인자나 메타포를 상호 침투시키고, 원초적인 기하학 형태들은 공간의 복합성을 위해 변주하여 상호 관입을 설명한다. 여기서 그는 Le Corbusier의 Villa Garches에서 볼 수 있는 지각적인 공간의 상호관입을 그 예로 들고 있다.

실의 투명성허의 투명성
화면상의 오브제들을 중첩형식적 인자나 메타포를 상호 침투
대규모의 유리나 격자를 이요한 건축적 연출을 유도하는 물리적 성질, 재료의 투명함기하학 형태들이 공간의 복합성을 위해 지각적인 공간의 상호 관입
Gropius의 BauhausLe Corbusier의 Villa Garches

뿐만 아니라, 합리주의자였던 Giuseppe Errangi의 엄격하고 이지적인 구조에 대한 심취와 1920 ~ 30년대의 유럽 정통 모더니즘 건축의 이념을 심어주었던 Mies Van der roheVan Desburg와 같은 유럽의 거장들에 대한 추종 역시 그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철학적 측면에서 Eisenman과 Graves의 기호학적인 접근은 언어의 연구에 의한 논리 실증주의와 연관되어 있다. 논리실증주의는 1920 ~ 30년대에 비엔나를 중심으로 Bertrand Russell과 Wittgenstein에 의해 미국에 소개된 실증주의로서 유럽 정통의 기능주의, 실증주의, 베이컨적 경험주의, 과학주의, 도구주의, 실증주의 등과 결합된 지나친 과학성 위주의 풍토이며, 주체를 대상에 대립시키고 주체가 추상화시킨 대상의 본질을 지식으로 간주하는 모든 인식론이다. De Stijl과 같은 ‘추상’이 적어도 New York 5의 초기 작품에 있어서 논쟁의 주요 관점이 되어왔음이 이와 전혀 무관한 것은 아니라고 본다.

 

다. Le Corbusier의 Purism

1) 20세기 회화의 전환 축으로서의 큐비즘

큐비즘은 20C 최초의 미술운동으로 구성주의, 데스틸, 표현주의 등의 모태가 되었으며, 이들 회화가 실제적으로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볼 때, 그 영향력을 알 수 있다. 또한 큐비즘은 르 꼬르뷔제가 순수주의로 발전시켰기 때문에, 건축에 유일한 직접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순수주의는 병, 안경, 기타와 같은 전통적인 표준대상을 사용하여 단순한 기하형태와 외형의 상호 관입으로 미학적인 처리 가능성을 제시한 회화의 한 종류로서, 이후 르 꼬르뷔제는 도미노 시스템과 근대 건축 5원칙으로 큐비즘의 시간성 개념을 건축적으로 표현하면서 자신의 건축의 중심 되는 준거로 연결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큐비즘의 중심개념인 투명성은 르 꼬르뷔제의 초기 주택 작품에서는 물론 New York Five에 이르러서는 특히 파사드에서 뚜렷하게 드러나는 형태 개념이 되고 있다.

2) Le Corbusier의 Purism

Le Corbusier와 화가 Ozanfant이 큐비즘에서 시사 하였던 조형의 순수성을 고도로 발전시키려 한 것이 바로 Purism이다. 이들은 < 큐비즘 이후 > 란 공저를 통해 순수주의를 선언하였으며 또한 1919년에서 1925년에 걸쳐 < 신정신 L’esprit Nouveau 에스프리 누보> 란 잡지를 통해서 그들의 조형 이념을 전개하였다. 그들의 목적은 회화에 있어 일체의 감정적 요소를 배제하고 순수한 기하학에 도달하려한 것이었다.

이러한 기하학의 신뢰는 마치 기계를 조립하는 것과 같은 기하학적 형과 색으로 회화를 조립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기계에는 개성이 없으며, 그것은 합리적 구조와 실의적인 능력을 목표로 그 가치기준이 정해진다. 따라서, 기계에는 개인적적이거나 민족적 취미에 의한 변화를 볼 수는 없다. 이러한 의미에서 기계는 가장 국제적인 것이며, 이러한 기계미학의 국제성을 조형미술로 표현하려고 한 대표적인 것이 바로 Purism이다. 그래서, 그들은 Cubism의 종합적 기하학주의를 더욱 극단화시켜서 마치 회화를 하나의 기계처럼 그렸으며, 그림을 하나의 설계도처럼 그렸으며, 이것이야말로 기계문명시대에 대응하는 새예술임을 자부하였따. 그들은 제재의 선택에 있어서도 인간이 직접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전등, 병, 컵과 같은 물품만으로 구성하였다.

그들은 또한 ‘기계적 도태의 법칙‘을 명백히 하려했다. 모든 물품은 형태의 진화에 의해 결정된 하나의 으뜸꼴(initial form)을 향해 유형화해 가며, 이러한 진화는 실익을 최대한으로 하고자하는 이상, 생산을 가급적이면 경제적으로 하려고 하는 이상에 따라서 결정되며, 그것이 그 물품의 전형적인 형태를 낳게 한다는 것이 그들의 생각이다.

결국은 현대의 대량 생산체계에서 모든 기물의 제작은 대개가 표준화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이며, 따라서 기물의 국제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대의 새로운 문화적 양상에 의존한 예술을 제작하여야 한다는 기능주의적 사고 방식에 접근하고 있다. 퓨리즘의 조형의 상징으로서는 ‘기계’라는 기본 영상이 이었다. 기계란 그 기능에 무용한 모든 부수물을 배제함으로서 절대적인 완성의 수준에 도달한 하나의 대상물(object)인 것이다.

이러한 퓨리즘의 이상은 회화에 있어서는 지나친 엄격함으로 인해 더 이상의 발전을 얻지 못하였고, Le Corbusier와 그의 추종자들의 건축 활동에 있어서만 유효한 응용분야로 발전했을 뿐이다. 본질은 탐구하고, 가장 본질적인 것만 단순히 규명하고자 했던 시도가 건축에 있어서, 순수한 기하형태로의 환원 내지는 기계미학으로 나타나고 있다. New York 5의 초기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유형화된 순수 입방체의 틀속에서 기하학적인 공간 구성은 이러한 Le Corbusier의 퓨리즘적인 사고 방식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특히 마이어와 과스메이는 그의 퓨리즘적 형태언어를 그들의 논리에 따라 재구성함으로서 세련된 기하학적 질서와 서정적 순수성을 체험케 하는 건축을 가능케 한다.

라. White파로서의 건축

5명의 건축가들은 현대의 혼돈과 문화적인 위기를 탈피하고자 1920년대의 유럽의 선구적인 모더니스트들, 특히 Le Corbusier의 초기작품의 형태질서로 돌아감으로서 그의 엄격한 구조체계와 순수하고 형식주의적인 가치체계를 추구하면서 유럽의 전총을 계승하고 있다. 다만 Le Corbusier의 건축이 인본주의적이었다고 한다면, New York Five의 건축은 유토피아적이었다. 따라서, 그들은 이상주의적이며, 지성적이며, 고급 예술적이며, 지성적이며, 관념적인 동시에 추상적이고 순수하며 시적인 건축을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 중 가장 이론가인 피터 아이젠만의 말을 빌어 White파로서의 그들의 건축 특성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구 분특 징
유 토 피 아개인과 사회 및 환경과의 관계를 매개로 하나, 활성화해서 제 가치를 표현하고 영향을 미침으로서 건축은 유효한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의미에서 White는 유토피아적이다.
이 상 주 의White는 이러한 매개 작용이 실용주의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이상주의적인 가치체계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관념과 의도를 서구문명의 전통의 해석 내지는 표명으로 간주한다.
순 수 예 술White는 반대중적이며, 순수예술을 표방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그들의 작품의 형태와 그 배후에 숨겨진 의도는 그들의 건축이 단순히 양식적인 것이 아니라, 순수주의적이고 유토피아적인 관념의 건축임을 말하고 있다.

 

이상으로 뉴욕5 건축에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았습니다.

이제 건축가 별 특징과 사례에 대해 다음 글에 정리해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공부를 또 열심히 했는지 내용이 꽤 되네요..ㅋㅋ 사진 자료를 같이 올려야 되는데 잘 정리해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전 글 링크입니다.
https://promenade1.com/%ea%b1%b4%ec%b6%95%ec%9e%90%eb%a3%8c-%ea%b1%b4%ec%b6%95%ec%9d%b4%ec%95%bc%ea%b8%b0_%eb%89%b4%ec%9a%955-%ea%b1%b4%ec%b6%95-%ed%83%90%ea%b5%acnewyork-5_1/

 

Similar Posts